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ocial login #Microsoft login
- 옵셔널 체이닝
- social login #facebook login
- yup
- cafe24
- 쇼핑몰
- useref
- social login #kakao login
- react editor #TinyMCE editor
- redux
- git flow
- social login #google login
- ESLint #Prettier
- Material UI
- useState
- Today
- Total
목록개발 스터디 (4)
여행가는개발자

구글 스프레드 시트 번역 기능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번역기능을 사용하는 장점번역본을 기획 또는 운영팀에서 확인하여 번역언어를 검수하는 수고가 덜음json 파일을 일일히 작업하기보다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작업 진행가능구글 시트에서 번역기 활용으로 다른 언어들을 자동 번역 작업 할수 있다 그래서 이 방법으로 번역을 해라! 라는 보단 이런 방법도 있으니 참고 해보면 좋다 라고 한번 보면 좋을거같다자동화 방법자동화는 아래의 순서로 구현합니다소스 코드에서 key를 스캔key를 Google Spreadsheet에 업로드필요할 때, Google Spreadsheet에서 번역된 텍스트를 다운로드1. 소스 코드에서 key를 스캔초기 셋팅먼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설치yarn add i18next react-i18nextya..

이번 북클럽은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로 진행하였다.각 챕터별로 정리하고 서로 의견을 나눴었다. 아이템1 타입스크립트와 자바스크립트의 관계 이해하기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상위객체이다.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런타임 동작을 하는 모델링하는 타입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런타임 오류를 찾으려고한다자바스크립트에 허용되지만 타입스크립트에 문제가 되는 코드가 있다.아이템2 타입스크립트 설정 이해하기tsconfig를 통해 타입스크립트를 설정해놓는 것이 좋다.아무런 타입을 설정하지않을때에는 “any” 타입으로 선언된다.엄격히 타입을 체크하고 싶다면 strict 설정을 고려해야한다.아이템3 코드 생성과 타입이 관계없음을 이해하기코드의 오류가 있을때 컴파일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타입 체크에 문제가 있다는 말과 같다...
워크플로우특정 branch 에 코드가 push 됨push 이벤트를 트리거 하여 작성된 워크플로우 실행checkout github repositorydocker build and ACR push(auzre 도커 이미지 저장소)github 환경 변수에 image tag 와 acr login server 설정설정된 변수로 k8s 매니페스트 임시 파일 생성Azure 로그인Azure AKS 클러스터와 연결생성된 k8s 임시 파일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배포Github Action 구조develop-workflow.yml (Github Action 파일)name: Build and deploy - develop myApp Fronton: pull_request: types: [ closed ] bran..

이번에 회사에서 개발 스터디를 진행하였다.프론트엔드 개발자끼리 진행했으며 읽은 책은 함께 자리기 - 애자일로 가는 길입니다. 각 챕터마다 생각나는 구절등을 남기고 서로의 의견을 남기는 식으로 진행하였다. 그 중 내가 작성한 구절들은 기록하여 남겨보려고 한다. 당신은 몇 년차?의도적 수련 ⇒ 애자일그냥 단순 코딩은 포함되지않는다.10년차 꾸준히… 단순코딩은 실력이 늘지 않는다. @김순일다양한 방식, 피드백 수용, 충분한 공유 자기 계발은 복리로 돌아온다일년 후 회고https://k-soonil.tistory.com/22 - 올해 1월에 작성한 23년 개발자로서의 회고자신의 갖고있는 것을 잘 활용하라그전에 자기계발을 진행할때 NESTJS, Flutter, Svelte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부하고 학습해봤는데..